경제

국제 무역론, 비교우위론, 리카르도 모형 ,무역의 이익,무역의 이익 그래프 설명

헛소리뱅크 2024. 2. 10. 07:03
728x90
반응형

국제무역

국제무역은 국가간의 상품과 서비스 교역 및 교환을 포함합니다.

교역의 원리와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 세가지 주요 질문에 답하하면서 2018년 미국이 수입하 스노우보드를 예시로 살펴보려한다. 

 

1. 무역의 이유 :  국가들은 왜 무역을 하는가?

2. 최고의 생산자와 수출 : 상품을 가장 잘 생산하는 나라가 항상 수출을 하는 것일까?

3. 저임금 수출국와의 경쟁: 국거들이 중국과 같은 저임금 수출국과 어떻게 경쟁할 수 있겠는가?

 

스노우보드의 경우를 살펴보면,

2018년 미국은 19개국으로부터 약 2,850만 달러 상당의 스노우보드를 수입했다.

아래 표는 미국에 스노우보드를 판매한 금액이 가장 많은 12개국을 나타낸다. 

목록 맨위에는 중국이 있으며 미국에 1,270만 달러 한국돈으로는 150억 상당의 스노보드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두번째로 큰 수출국은 오스트리아로 2018년에 690만 달러를 판매했습니다.  이 다소 긴 국가 목록은 질문을 제기하는데, 

미국은 제조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국내(미국)에서 생산하지 않고 다른 국가에서 수입해 오는걸까?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있다.

1. 국가간의 근접성 - Proximity

국가의 근접성은 주로 운송 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서로 가까이 있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거래 상품 비용에 추가되는 운송비가 더 낮습니다. 국가들의 근접성은 캐나다가 미국에 스노우보드를 수출하는 상위 12개국중 하나인 이유와 캐다와 멕시코가 모두 미국의 3대 무역 파트너(세번째는 중국)인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된다.

2. 각 국에서 발견되는 자원 (노동, 자본, 토지, 포함)의 총량의 차이 - Resources

오스트리아와 캐나다 모두 추운 기후와 산을 가지고있어 스노우보드를 포함한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있는 장소가 흔히 있기 때문에 장비의 현지 생산(및 전문 지식)이 많이 발전했다고 볼 수있다. 이 것은 한 국가의 지리(이경우 산과 기후)가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예시이다. 

3. 오프쇼어링 비용의 차이(즉, 다른 국가에서 상품의 다양한 부품을 생산한 다음 최종 위치에서 완조품으로 조립) 

표를 확인해 보면 중국(57달러), 대만(70달러), 홍콩(31달러) 등 미국에 수출되는 도매가가 낮은 국가도 있고 , 폴란드 (331달러), 일본(205달러) 등 가격이 높은 국가도 있다. 저렴한 가격은 이들 국가가 미국에 판매하는 스노우 보드가 품질이 낮거나 추가 가공을 위해 수입된 미완성 보드임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홍콩(31달러)은 미완성 제품을 선적하고 중국의 제조 시설에서 추가 가공한 다음 미완성 또는  완성된 형태로 다시 미국으로 배송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형의 미완성 제품 거래는 기업이 생산 활동을 여러 국가에 분산시키는 프로세스인 오프쇼어링(off-shoring)의 한 예이다.

오프 쇼어링 (Off - shoring) 리쇼어링 (Re-shoring)
기업이 자국외의 다른 국가나 지역으로 일부 또는 전체 생산 프로세스를 이전하는것을 의미한다.  기업이 이전에 다른 국가로 오프쇼어링한 작업을 다시 자국으로 가져오는것을 의미한다. 
목적: 비용절감  목적: 자국내 생산 촉진, 일자리 생성, 재산권 보호

 

4. 각국에서 사용하는 기술의 차이(즉,  각국의 제품 제조 능력의 차이)- Absolute Advantage 절대우위

 

지금까지 많은 국가에서 스노보드를 미국에 수출하는 몇가지 이유를 설명했지만 미국에 스노보드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해서는 아직 설명하지 않았다. 위에 표를 확인해보면 57달러로 품질이 낮다는것을 나타내는데, 2위 수출국인 오스트리아아 (130불) 와 비교해보면 중국은 노동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고급 기술이나 특수한 제조 기술을 반영하지 않아서 값싼 가격에  스노보드를 대량 생산하고있는 반변 오스트리아 회사들은 에너지 효율로 인정받은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것을 알 수있다. https://capitasnowboarding.com/pages/clean-energy.

 

절대우위: 한 국가가 재화를 생산할 수았는 최고의 기술을 가지고있을 때, 그 재화의 생산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할 수있다.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오스트리아는 스노우보드 생산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다. 

 

그렇다면 왜 미국은 덜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중국에서 그렇게 많은 스노보드를 수입하는 걸까?

(더욱이, 미국도 비슷한 기술을 사용할 수있음에도 왜 미국내에서 생산하지 않고 중국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스노보드를 수입해야할까?)

5. 기술 및 생산 효율성의 차이 - Comparative Advantage 비교우위 ( Ricardian Model)

이러한 질문은 절대적 우위가 실제로 거래 패턴에 대한 좋은 설명이 아니라는것을 나타내며, 이것이 내가 설명하려는 핵심중하나이다. 

이설명은 19세기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드로 (David Ricardo)가 제안했기 떄문에 종종 리카드로모델 (Ricardian Model) 이라고 불린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모르는 사람이 없듯이, 데이비드 리카드로가 내놓은 비교우위론(Comparative Advantage)은 경제 교과서에서 단골로 나오는 개념이다. 한 마디로 정리해자면, 모든 국가는 비교우위를 가지고있는 상품을 수출함으로써 무역에서 이익을 얻는다라는 개념을 가지고있으면 될것같다.  이 말은 즉 기회비용이 낮다는 말이기도 한다.

 

우리의 스노보드를 예로들면,

오스트리아는 고품질의 스노보드 생산에 특화되어있고, 중국은 저렴한 노동력으로 대량의 스노보드를 생산하는데 강점을 가지고있다.

반면 미국은 다른 고급 기술( 인텔, 구글, 테슬라) 제품을 생산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스노보드 생산에 있어서는 오스트리아나 중국만큼 경쟁력이 없을 수있다. 이상황에서 미국은 다른 분야의 제품을 오스트리아와 중국에 수출함으로써, 각각의 국가는 자신의 비교우위를 활용해 국제 무역에서 이익을 얻게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이제 이론적인 설명을 끝으로 계산과 그래프로 비교우위론(리카드로 모델)을 설명해보려한다. 

 


Comparative Advantage 비교우위론 - 리카드로 모델 ( Ricardian Model)

 

"비교 우위론"  이름에서 알 수있듯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할것은  "비교" 이다. 즉 우리는 각 국가의 상품 생산 능력을 비교하는것에 초첨을 맞추고, 각각의 국가들이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파악해야한다. 이를 파악하는데 쓰이는 것은 기회비용 (oppertunity cost) 이라는것을 꼭 기억하며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고자 한다.  

기회비용이란 특정 선택을 함으로써 다른 선택의 가능성을 포기하는 비용입니다. 예를들어, 쌀을 한 단위 더 생산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옷의 양을 나타내므로, 이는 옷을 생산하지 않고 쌀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입니다.
-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 기회비용이 적은 상품
- 기회비용 = MRT = 생산가능 곡선 (PPC) 의 접선의 기울기

- 기회비용(MRT) 이 크면 -> 생산가능곡선(PPC)의 접선의 기울기가 가파르다. 
- 기회비용(MRT) 이 작으면  -> 생산 가능곡선(PPC)의 접선의 기울기가 완만하다. 

즉 ,
 계산적으로는 작은 기회비용 MRT  ( 또는 )
그래프적으로는  완만한 접선의 기울기를 가진 재화가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걸 알 수있다. 

자국 (Home Country) 안에서의 비교우위론 

STEP 1 : 자국(Home country)안에서  비교적 유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파악하기

 

- 그래프적으로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을 파악하기

1 ) : 문제를 읽고 MPL (노동의 한계 생산) 정의하기

문제 :  자국 (Home Country) 에서는 노동이 유일한 생산 요소이며, 총 노동자(L) 수는 25명입니다.  각 노동자는 쌀 4가마니를 생산하거나 또는 2개의 옷을 생산할 수있다. 

이 생산은 각 재화에 대한 한계 노동 생산(MPL) 로 표현할 수있다.

  • L= 25 
  •  MPL쌀= 4 
  • MPL옷 = 2 

 

한계 노동 생산(MPL) 공식 복습하기 -클릭
 노동의 한계생산(MPL): 추가로 1명의 노동자를 더 추가했을 때, 생산량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용어

 

 

 2) :  MPL 사용해서 국가 전체 생산 능력 계산하기

위, MPL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자국의 전체 생산능력을 계산할 수있다.

 

25명의 노동자(L)가 모두 쌀을 생산하는데 투입된다면, 전체 쌀 생산량은(MPL쌀) 100가마니가 될것이다. <25(L)*4(MPL쌀)=100>. 

반면, 모든 노동자가 옷을 생산하는데 투입된다면 전체 옷 생산량은 50개 이다. <25(L)*2(MPL옷)>. 따라서 미국은 이러한 생산 조건 하에 최대 100가마니 의 쌀 또는 50개의 옷을 생산할 수있으며, 두 상품간의 생산 비율은 노동자들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 L=25
  • Q쌀 = L * MPL쌀 = 25* 4= 100 가마니
  • Q옷 = L * MPL옷 = 25* 2 = 50 개

 

3) : 계산한 국가 전체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생산가능곡선(PPC)를  그래프로 그린 뒤  접선의 기울기(기회비용) 구하기

 

생산 가능 곡선(PPC) 정의 복습하기 - 클릭
생산 가능 곡선(PPC)은  주어진 자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두 상품의 최대 가능한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이 곡선은 주어진 기술과 자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쌀과 옷의 조합을 보여줍니다. PPC는 통상적으로 두 상품에 전체 생산 능력에 기반하여 그려진다.

 

쌀의 생산 가능 곡선(PPC)의 접선의 기울기 = 1/2  =기회비용
옷의 생산가능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 2 =기회비용

기회비용이 적은 상품 = 쌀 =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쌀의 기회비용 = 1/2 = 접선의 기울기가 완만하다
옷의 기회비용  = 2 = 접선의 기울기가 가파르다  

결론:
그래프적으로  완만한 접선의 기울기를 가진 쌀이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걸 알 수있다.

 

- 계산적으로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파악하기 

1) :  문제를 읽고 MPL (노동의 한계 생산) 표로 정의하고, 기회비용 계산하기 

쌀의 생산 가능 곡선(PPC)의 접선의 기울기 = 1/2  =기회비용
옷의 생산가능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 2 =기회비용

기회비용이 적은 상품 = 쌀 =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결론:
 계산적으로 적은 기회비용을 가진 쌀이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것을 알 수있다. 

 

STEP 2. 자국( Home country) 안에서 재화의 균형 Equilibrium 찾기  

- 자국(Home country)안에서 무차별 곡선 (Indifference Curve) 파악하기

우리는 자국안에서 쌀과 옷중 어느 상품이 더 비교우위인지 파악했다. 그 뒤 자국은 실제로 어떻게  쌀과 옷의  생산을 어떻게 조합할것인지 결정해야하는데 이건 두 상품 각각의 대한 수요에 달려있다. 두 상품 각각의 수요을 알기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우리는 무차별 곡선을 사용해 개인이나 경제가 소비하고 동등하게 만족할 수있는 두가지 재화의 수요를 파악할 수있다.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 정의 복습하기:
무차별 곡선들은 국가(또는 소비자)가 다른 '밀'과 '천'의 조합 사이에서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같은 무차별곡선 위의 모든 조합은 그 국가에게 같은 만족도를 줍니다. 곡선이 더 위에 있을수록 더 많은 만족도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점 A는 PPF 위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경제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쌀'과 '옷'을 생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무역 없는 균형점'입니다. = <더 많은 만족도>

 

  • 점 A(U1): 이 점은 국가가 '쌀'과 '옷'을 생산하여 소비할 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조합입니다. 여기서는 50부셸의 밀과 25야드의 천을 의미합니다. 이 점은 국가가 더 이상 생산 조합을 변경해도 만족도를 높일 수 없는 지점입니다.
  • 점 B(U1) : 이 점은 A 와 동일한  만족도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지만 두 재화의 조합이 다르다. 다시말해, 점B 는 무차별 곡선 U1에 있지만 ,  PPF의 내부에 위치해있기때문에 . 그림에 따르면 이 점은 PPF의 내부에 위치해있지만, 모든 생산 잠재력을 사용하지 않고있어, 더 많은 쌀 또는 옷을 생산할 수있는 기회를 포기하고 있
  • 점 C(U2) : 이 점은 더 많은 만족도를 주지만 PPF 바깥에 있어서 무역 없이는 달성할 수 없다.
  • 점 D (U3) :  이 점은 PPF 안에 있지만 점 A 보다 낮은 만족도를 준다. 

임금(Wages) 계산하기

  • P쌀 = 쌀 가격 
  • P옷 = 옷 가격 

경쟁적 노동 시장에서 기업들은 한 명의 노동자를 추가로 고용하는 비용(연간 임금)이 그 노동자에 의해 생산된 상품의 가치와 같아질 때까지 노동자를 고용합니다. 한 명의 노동자에 의해 생산된 상품의 가치는 그 노동자의 한계생산량(MPL)과 상품의 가격(쌀의 경우 P쌀, 옷의 경우 P옷)을 곱한 것입니다.

 

즉,

  • 쌀을 생산하는 노동자의 임금(상품의 생산가치) = P쌀 * MPL 쌀
  • 옷을 생산하는 노동자의 임금(상품의 생산가치)  = P옷 * MPL 옷

이 원칙은 사실상 노동자가 생산한 상품의 가치가 그 노동자에게 지불하는 임금과 같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한 명의 노동자가 생산한 상품의 가치가 임금보다 높다면,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더 많은 노동자를 고용할 거고 반대로 만약 임금이 생산 가치보다 높다면 기업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노동자 고용을 줄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동 시장에서의 경쟁은 임금과 노동자의 생산성을 균형점에 이르게 해준다.

 

노동자들이 두 산업, 즉 밀을 생산하는 산업과 옷을 생산하는 산업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노동자들은 더 높은 임금을 주는 산업에서 일하길 원할것이다. 만약 한 산업의 임금이 다른 산업보다 낮다면, 낮은 임금을 받는 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더 높은 임금을 주는 산업으로 옮겨갈 유인이 생길것이다. 이렇게 노동자들이 이동하면, 높은 임금을 주는 산업에는 노동자가 넘쳐나 임금이 떨어지고, 낮은 임금을 주는 산업에는 노동자가 부족해져 임금이 올라갑니다. 이러한 노동자의 이동은 두 산업 간의 임금이 같아질 때까지 계속됩니다.

 

이제, 임금 평등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 산업에서의 임금을 비교하는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 P쌀 * MPL쌀 = P옷 * MPL옷 

이 모델은 모든 노동자가 똑같은 기술을 가지고 있고, 모든 산업이 노동자를 똑같이 대우한다는 가정하에 설립된다. 왜냐하면  실제 노동 시장에서는 여러가지 이유( 기술,자격..)로 인해  모든 산업이나 직업간에 임금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모델)이 항상 충족되지는 않는다.

 

외국 (Foreign Country) 을 포함한  비교우위론 

 

이제 다른 국가인 외국을 모델에 도입해볼것이다. 

STEP 1 : 외국 (foreign Country ) 과 비교해서   비교적 유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파악하기

- 그래프적으로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을 파악하기

1 ) : 문제를 읽고 MPL (노동의 한계 생산) 정의하기

문제 :  외국에 있는 노동자 한명이 쌀 1가마니 또는 옷 1개를 생산할 수있다고 가정하고 자국에 있는 노동자가 쌀 4가마니 또는 옷 2개를 생산할 수있다고 가정하고 외국에있는 총 노동자(L) 수는 100명이라고 가정해보자. 

  • 자국: L= 25  ,   MPL쌀= 4   , MPL옷 = 2 
  • 외국: L =100 , MPL쌀= 1   , MPL옷 = 1 

 

2) :  MPL 사용해서 국가 전체 생산 능력 계산하기

위, MPL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자국과 외국의 전체 생산능력을 계산할 수있다.

 

자국: 

  • Q쌀 = L * MPL쌀 = 25* 4= 100 가마니
  • Q옷 = L * MPL옷 = 25* 2 = 50 개

외국:

  • Q쌀 = L * MPL쌀 = 100* 1= 100 가마니
  • Q옷 = L * MPL옷 = 100* 1 = 100개

3) : 계산한 국가 전체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생산가능곡선(PPC)를  그래프로 그린 뒤  접선의 기울기(기회비용) 구하기

- 계산적으로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품 파악하기 

1) :  문제를 읽고 MPL (노동의 한계 생산) 표로 정의하고, 기회비용 계산하기 

결론:
 자국은 쌀 생산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가지고있고,
외국은 옷 생산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가지고있다. 

STEP 2. 외국( Foreign Country ) 안에서 재화의 균형 Equilibrium 찾기  

- 외국( Foreign Country ) 안에서 무차별 곡선 (Indifference Curve) 파악하기

우리는 외국이 옷 생산에 있어서 자국보다 더 비교우위에 있다는것을 파악했다. 그렇다면 외국은  쌀과 옷의  생산을 어떻게 조합할것인지 결정해야하는데 이전과 마찬가지로 두 상품 각각의 대한 수요에 달려있기에 우리는 무차별 곡선을 사용해 파악해볼것이다. 

  • 점 A(U1): 이 점은 외국이 '쌀'과 '옷'을 생산하여 소비할 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조합입니다. 여기서는 50가마니의 쌀과 50개의 천을 의미합니다. 이 점은 국가가 더 이상 생산 조합을 변경해도 만족도를 높일 수 없는 지점이다.

 

국제 무역의 패턴 (Trade Pattern)결정 - 국제 무역 균형 International Trade Equilibrium. (feat. 상대가격)

우리는 지금까지 비교우위를 사용해 무역이 없는 상태에서 각 국가를 살펴보았다. 이제 두 국가 간에 상품이 거래될 떄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분석할 수있다. 무역이 시작될 때, 각 국가의 무역 전 상대가격이 해당 국가가 어떤 상품을 수출하고 어떤 상품을 수입할지 결정합니다. 즉, 상대가격(relative price)이 얼마냐에 따라 국가별 무역패턴(Trade Pattern)이 결정된다. 

상대가격이라는 개념은 한 상품의 가격을 다른 상품의 가격으로 나눈 비율로 표현됩니다. 이 비율은 한 상품을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다른 상품의 양을 나타내며, 두 상품 간의 교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비교우위가 어떤 상품을 생산할지에 대한 전반적인 지침을 제공한다면, 상대가격은 시장에서의 실제 거래 조건을 반영합니다. 다시 말해, 비교우위와 무차별곡선은 이론적인 분석 도구이며, 상대가격은 이러한 이론이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실질적인 지표인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두 산업에서의 임금을 비교하는 방정식을 가져와 재배열을 하면 밑에 있는 방정식이 나오는데, 

  • P쌀/ P옷 = MPL옷 / MPL쌀
  • 역수라는걸 기억하자....!!!

여기서, 

오른쪽 (P쌀/ P옷) 은 생산가능 곡선(PPC)의 기울기 즉 기회비용이고,

왼쪽 (MPL옷 / MPL쌀) 은 상대적 가격( relative price) 이다.

 

P쌀/P옷 과 같은 가격 비율은 분자에 있는 상품(이 경우 쌀)의 상대가격을 나타내며, 이는 분모에 있는 상품(이 경우 옷)을 얼마나 포기해야 하는지를 측정합니다. 즉, 쌀 한 가마니를 구매하기 위해  얼마만큼의 옷을 포기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밀 한 부셸의 가격이 $3(P쌀 = $3)이고, 옷 한 개의 가격이 $6(P옷 = $6)라면, 쌀의 상대가격(PW/PC)은 $3/$6 = 1/2이 됩니다. 이 비율은 쌀 한 가마니을 구매하기 위해 옷 한개의 가치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가격(Relative Price) 구하기

  • 자국: L= 25  ,   MPL쌀= 4   , MPL옷 = 2 
  • 외국: L =100 , MPL쌀= 1   , MPL옷 = 1 

=>

  • 외국(Foreign)에서는 옷의 상대가격은  < MPL 쌀/ MPL 옷=  1/1 > = 1 입니다. 이는 외국에서 옷 한 개와 쌀 한가마니의 가격이 동일함을 나타냅니다.
  • 자국(Home) 에서는 옷의 상대가격은  <MPL 쌀/ MPL 옷= 4/2 >= 2 로, 외국보다 높습니다.
  • 상대가격을 비교하면 우리는 외국(Foreign)의 옷 생산자들은 상대가격이 더 높은 자국(Home)으로 옷을 수출하고자 한다는것을 알 수있다. 

반대로,

  • 외국(Foreign)에서는 쌀의 상대가격은  <MPL 옷/ MPL 쌀 = 1/1 > =1 입니다. 이는 자국보다 높습니다. 
  • 자국(Home) 에서는 쌀의 상대가격은 <MPL 옷/ MPL 쌀 = 2/4 > = 1/2 입니다.  이는 자국에서 쌀 한가마니의 가격이 옷 한 개의 가격의 절반임을 나타냅니다. 
  • 상대가격을 비교하면 우리는 자국(Home)의 쌀 생산자들은 상대가격이 더 높은 외국으로 쌀을 수출하고자 한다는것을 알 수있다. 

따라서 예상되는 무역 패턴은 자국이 밀을 수출하고 외국이 옷을 수출하는 것입니다. 이는 각 국가가 비교우위를 가진 상품을 수출한다는 리카드로 모델의 예측과 일치한다. 이러한 국제무역 패턴은 국가들이 상대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품을 수출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방식이다.  무역으로 인해 자국의 생산자는 더 높은 가격으로 상품을 팔 수 있게 되고, 외국의 소비자는 더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 과정은 국제 시장에서의 상대가격이 수렴하게 만들며,  결국 이로 인해 두 국가 모두에서 상품의 생산과 소비가 국제무역균형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공급과 수요 법칙 정리하기 - 클릭

 

1. 자국(Home)이 밀을 수출할 때:

  • 자국 내에서 판매되는 밀의 양이 감소합니다.
  • 이에 따라 자국 내 밀의 가격은 증가합니다. 왜냐하면 내부 시장에서의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공급과 수요의 법칙에 따라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2. 외국(Foreign) 시장에 더 많은 밀이 공급될 때:

  • 외국 시장에서의 밀 가격은 하락합니다.
  • 이는 자국에서 수출된 밀이 외국 시장에 추가로 공급되어 외국 시장의 밀 공급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락합니다.

3. 외국이 옷감을 수출할 때:

  • 외국 내에서 판매되는 옷감의 양이 감소합니다.
  • 그 결과 외국 내 옷감의 가격은 상승합니다. 내부 시장에서의 공급 감소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4. 자국으로의 옷감 수입이 증가할 때:

  • 자국 내 옷감의 가격은 하락합니다.
  • 외국에서 수출된 옷감이 자국 시장에 추가로 공급되기 때문에, 자국 시장에서의 옷감 공급이 증가하고, 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무역이 발생함에 따라 각 국가에서 수출하는 상품의 내부 시장 가격은 상승하고, 수입하는 상품의 내부 시장 가격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무역을 통해 각 국가가 상대적 비교우위를 가진 상품을 생산하고 교환함으로써 더 많은 상품을 획득하고, 전체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이득을 볼 수 있게 되는 국제무역의 이점을 보여준다.

 

생산과 소비의 변화 -Chang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우리는 앞서 상대가격을 사용해서 무역의 패턴에 대해 알아보았다 ( 자국은 쌀을 수출하고, 외국은 옷을 수출한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각 국가가 얼마나 수출하거나( 생산량) , 수입할지 (소비량) 를 결정해야한다. 

 

STEP 1. 세계의 쌀 상대적 가격 파악하기

무역 균형에서 쌀의 상대적 가격이 두 국가의 거래전 가격 사이의 수준에서 설정된다고 가정해보자. 즉 세계 쌀의 상대적 가격( world relative price)이 2/3 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가정에서 세계 상대 가격은 자국의 거래전 가격보다 높다는것을 확인 할 수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자국은 이러한 높은 상대적 가격을 활용하여 쌀 생산을 늘리고, 이를 외국에 수출하여 무역의 이득을 취하게 됩니다.

 

 

이 직관이 옳은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국의 산업에서의 임금 비율를 확인해보면 알 수있다. 

 

STEP 2. 두 산업에서의 임금 비율 계산하기 

1) 앞서 설명했던 임금파트에서 다뤘던 임금 방정식을 기억해야한다. 

  • 쌀을 생산하는 노동자의 임금(상품의 생산가치) = P쌀 * MPL 쌀 (=MPL옷 *MPL쌀)
  • 옷을 생산하는 노동자의 임금(상품의 생산가치) = P옷 * MPL 옷 (=MPL쌀 *MPL옷)

2) 우리는 무역 균형에서 세계 쌀의 상대적 가격을 알고있다. 

  • P쌀/ P옷 = 2/3

3) MPL (노동의 한계 생산)

  •  MPL쌀 = 4, MPL옷 = 2

4) 이 숫자들을 임금 공식에 대입하여 두산업의 임금 비율을 계산하기

  • P쌀/P옷  * MPL 쌀/ MPL 옷= 2/3 * 4/2 = 8/6   

수식에서 "1"이라는 숫자는 비율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기준값입니다. 여기서 1은 두 가지 상황을 비교할 때 '동등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두 임금의 비율이 1이라면 두 임금은 같다는 의미입니다. 비율이 1보다 크다면 첫 번째 항목이 두 번째 항목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율이 1보다 작으면 첫 번째 항목이 두 번째 항목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쌀 산업의 임금이 옷 산업의 임금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STEP 3 세계 가격 라인 ( world price line) 그래프에서 확인하기  (자국버전)

 

 -그래프 효용 설명

 

STEP 4 무역으로 인한 이익 확인하기

자국의 생산, 소비 및 무역 균형 그래프 

  • 자국은 생산점 B에서 쌀 100가마니를 생산합니다.
  • 40 ( 소비점 C) 가마니의 쌀을 내부적으로 소비하고 있다. 
  • 남은 쌀 60가마니 (100-40=60)는 외국에 수출하고있다.
  • 자국이 외국으로 부터 얻을 수있는 옷의 양 측정 : 국제시장 가격 * 자국이 수출하는 쌀의 양 = 2/3 * 60 = 40
  • 자국이 수출한 밀의 가치 =  수입한 옷의 가치 = 무역 
  • 자국은 옷을 생산하지 않으므로, 외국에서 옷 40개를 수입하여 내부적인 옷 수요를 충족시키고있다. 

외국의 생산, 소비 및 무역 균형 그래프

  • 외국에서는 생산점 B에서 옷 100 개를 생산합니다. 
  • 이 중 60(소비점 C) 개의 옷은 내부적으로 소비되고있다.
  • 나머지 40(100-60)개의 옷은 자국에 수출하고있다. 
  • 외국은 쌀을 생산하지 않으므로, 자국에서 쌀 60 가마니를 수입하여 내부적인 쌀 수요를 충족시키고있다.

 

리카드로 모델에서 국가 간 무역 분석은 보통 두 가지 결론에서 멈춥니다. 

첫째, 무역 패턴은 국가들의 비교우위에 의해 결정되고, 

둘째, 무역을 통해 모든 국가가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다.

  • 무차별 곡선의 변화 : 무역 전후 각 국가의 소비점이 더 높은 무차별 곡선으로 이동했으며, 이는 소비자의 효용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 생산과 소비의 변화 : 비교우위에 있는 상품을 더 많이 생산하고, 다른 국가의 비교우위 상품을 수입함으로써, 두 국가 모두 더 많은 상품을 소비할 수있게 되었다. 
  • 국제 시장의 균형 가격:  무역으로 인해 국제 시장에서 상품의 균형가격이 형성되고 , 두국 가 모두 더 많은 상품을 더 낮은 비용으로 소비할 수있게 되었디. 

그러나 임금 수준에 대한 분석이 빠져 있어 이야기는 불완전합니다. 무역을 통해 각 상품의 상대가격은 두 나라에서 단일 균형 가격으로 수렴하지만, 임금 수준은 그렇지 않습니다. 무역이 있는 국가들 간에 임금 수준은 다르며, 임금은 비교우위가 아닌 절대우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것은 리카드로 모델에서 덜 강조되는 세 번째 결론이다. 

 

국가 간 임금 문제 해결 (Solving for Wages Across Countries)

실질적인 임금(real wage)은 노동자들이 생산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상품의 양을 의미합니다. 실질 임금은 노동의 한계생산성(MPL)과 상품의 가격 (price) 으로 표현됩니다. => MPL * PRICE .

 닽, 여기서 중요한것은 실질 임금을 계산할 때는 "국제시장" 에서의 상품 가격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국내시장의 가격이 아니라 상품이 국제 무역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기준으로 삼다는것을 의미한다.

 

자국 (Home) 의 실질 임금 (real wage)

자국의 실질 임금을 확인해보기 위해서는 우린 위에서 가정했던 쌀의 상대적 가격( world relative price)인 2/3을 사용해야한다. 

이때 옷이 아닌 쌀의 상대적 가격을 사용하는 이유는 자국은 쌀 생산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가지고있으며 쌀 생산만을 하기때문. 

 

임금을 계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직접 방식(Direct)과 우회 방식(Roundabout).


- 직접 방식: MPL_쌀이 4로, 자국 노동자는 노동 1단위로 쌀 4가마니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실질 임금은 4가마니의 쌀입니다.
- 우회 방식: 쌀 1부셸당 옷의 국제 상대 가격이 2/3 이므로, 자국 노동자가 생산한 쌀 4가마니로 옷 8/3 개를 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 임금은 8/3개의 옷입니다.

 

외국 (Foreign)의 실질 임금 (real wage)

- 직접 방식: MPL_옷이 1로, 외국 노동자는 노동 1단위로 옷 1개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실질 임금은 1개의 옷 입니다.
- 우회 방식: 옷 1개당 쌀의 국제 상대 가격이 3/2 이므로, 외국 노동자가 생산한 옷 1개로 쌀 3/2 가마니를 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 임금은3/2 가마니의 쌀 입니다. 


이 계산들은 국제 시장에서의 상대 가격을 기준으로 각 나라에서 생산된 상품이 다른 나라의 상품과 어떻게 교환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각 나라의 노동자들이 국제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노동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국제 무역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비교 우위와 절대 우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교 우위는 한 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품을 말하며, 절대 우위는 한 나라가 다른 모든 나라보다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을 때 그 나라가 가지고 있는 우위를 말합니다.

 

Solving for International Prices  ( 국제 가격 해결)

지금까지 우리는 쌀의 세계 상대 가격이 2/3 이라고 가정해왔다. 이제는 세계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보여주기 위해 조금 더 깊이 파고들어가보자. 쌀(옷) 의 상대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 수요와 공급 곡선" 을 사용한다.

자국은 쌀을 수출하고, 다양한 상대 가격으로  쌀을 수출 하는것을 보여주는 "수출 공급 곡선" 도출 = export supply curve

외국은 쌀을 수입하고, 다양한 상대 가격으로 쌀을 수입 하는것을 보여주는 "수입 수요 곡선" 도출 = import supply curve

국제 무역 균형은 자국의 쌀 수출이 외국의 쌀 수입과 동일한 양과 상대 가격이다. (=그래프 교차)

 

Home Export Supply Curve (자국 수출 공급 곡선)

 

자국의 수출 공급 곡선은 자국이 국제 시장에서 쌀을 얼마나 수출하고자 하는지를 상대 가격에 따라 보여준다.

 

그래프 1 에서는 자국의 생산과 소비를 보여주는 생산 가능곡선(PPF)와 소비 곡선이있다. 

상대가격(slope)이 2/3 일때,  자국은 쌀 100가마니를 생산하고(점 B), 40가마니를 소비하며(점 C), 나머지 60 가마니를 수출합니다. 

 

그래프 2에서는 이정보를 바탕으로 수출공급곡선을 그리고있다. 수직축은 쌀의 상대 가격을 나타내며, 수평푹은 쌀의 수출량을 나타낸다. 점 A' 는 상대가격이 1/2일때, 자국의 수출량이 0가마니인 점을 나타내고, 점 C'는 상대 가격이 2/3일때, 자국의 수출량이 60가마니인 점을 나타낸다. 

 

자국 수출공급곡선은  다양한 상대 가격에서  자국의 쌀 수출량을 보여줍니다. 상대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수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국제 시장에서 쌀의 상대 가격이 올라갈수록 Home 나라는 더 많은 쌀을 수출하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상대 가격이 낮을수록 수출하고자 하는 쌀의 양은 감소합니다.

 

Forigen Import Demand Curve (외국 수입 수요 곡선)

외국의 수입 수요 곡선은 외국이 국제 시장에서 쌀을 얼마나 수입하고자 하는지를 상대 가격에 따라 보여준다.

 

그래프 1 에서는 외국이 쌀을 전혀 생산하지 않고 점 (점 B에서의 생산량 0), 60 가마니를 소비합니다.(점 C 소비량 60). 따라서 외국은 60가마니의 쌀을 수입하게 된다. 

그래프 2에서는 이정보를 바탕으로 수입수요곡선을 그리고있다. 수직축은 쌀의 상대 가격을 나타내며, 수평축은 쌀의 수입량을 나타낸다. 점 A' 는 상대가격이 1 일때, 자국의 수입량이 0가마니인 점을 나타내고, 점 C'는 상대 가격이 2/3일때, 자국의 수입량이 60가마니인 점을 나타낸다. 

 

외국 수입 수요 곡선은  다양한 상대 가격에서  자국의 쌀 수입량을 보여줍니다. 상대 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국제 시장에서 쌀의 상대 가격이 올라갈수록 외국은 더 적은 쌀을 수입하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상대 가격이 낮을수록 수입하고자 하는 쌀의 양은 증가합니다.

 

International Trade Equilibrium (국제무역 균형 )

우리는 자국 수출 공급곡선과 외국 수입수요곡선을 결합하여  국제 무역 균형 점을 알 수있다. 

이 균형점에서는 자국의 쌀 수출량과 외국의 쌀 수입량이 같아지며 ,이는 세계 시장에서의 밀의 상대 가격이 결정되는 지점이된다.

리카드로 모델은 단순화를위해 단 하나의 생산 요소 , "노동" 만이 사용되고, 노동의 한계 생산물(MPL)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이 리카르도 모델을 특별하게 만든다. 이러한 가정으로 인해 이 모델의 PPF는 직선이며 수출 수요 및 수입 수요 곡선은 가각 평평한 부분을 갖는다.

 

사실 이러한 특수한 특정들은 다른 모델들에서는 발생하지않는다. 보다 현실적인 가정을 하기위해서는 우리는 노동 이외에 자본과 토지등을 함께 살펴볼 수있는 모델을 알아봐야한다. 

반응형